아이들의 놀이에 관심을 쏟아온 전문가·교사·공무원 다섯 사람이 지난 19일 오후 경향신문 ‘놀이가 밥이다’ 기획을 마무리하는 좌담을 하기에 앞서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경희궁 앞뜰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 강윤중 기자
yaja@kyunghyang.com
(12) 전문가 5인 좌담
아이들의 놀이에 관심을 쏟아온 전문가들과 할 말이 많은 현장 교사·공무원들이 지난 19일 오후 경향신문에 모였다. 경향신문 ‘놀이가 밥이다’ 기획을 마무리하며 열린 좌담이었다. 생후 6개월부터 초·중·고·대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이기도 한 다섯 사람은 아이들의 놀이현실과 공동체 붕괴 상황이 한계에 이르렀고,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문제의 원인도 해법도 공동체 전체의 의식 전환에서 찾아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먼저 나설 때엔 용기가 필요하지만,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이슈여서 사회적 대화의 물꼬가 터지면 생각보다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라는 점에도 뜻을 같이했다.
- 2월25일 시작된 경향신문의 ‘놀이가 밥이다’ 기획이 한 달이 됐다.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선우현 = 놀이의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기획이었다. ‘마실 문화’ ‘골목 문화’의 경험이 없는 젊은 부모들이 등장했다. 소위 ‘알파걸 시대’의 엄마들로, 아이들과 같이 입시경쟁에 뛰어든 세대의 부모들이다. 젊은 부모들은 ‘우리도 경쟁사회에서 살아왔다’ ‘놀이라도 줄여 유리한 고지를 점해야 한다’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어 40대 이후 세대의 눈높이와 많이 다르다. 그 자신들이 놀이의 필요성을 별로 못 느끼는 세대인 것 같다.
▲ 선우현 명지대 아동심리치료학과 교수
“아이·엄마 고립된 생활로 공동체와 어울리지 못해
친구를 경쟁자로 인식하고 학교도 공부 외 의미 없어”
- 놀이가 사라져가며 모든 교육주체들이 힘들어하는 것 같다.
선우현 = 핵가족화하면서 아이들 대부분이 유치원 갈 때까지 엄마와 단둘이 있는 경우가 많아졌다. 내 치료실에는 애도 엄마도 공동체에 잘 끼지 못한 경우가 많다. 언제부터인지 공동체 문화가 무너져 부쩍 개인주의·경쟁주의의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는 걸 느낀다. 아이들이 친구를 친구라기보다는 경쟁자로 여기고, 학교도 공부하는 공간이지 그 이상의 의미가 없다는 식의 얘기를 많이 한다.
선우현 = 심리상담은 3~5월이 성수기다. 학교나 어린이집에서 교사 얘길 듣고 찾아오는 거다. 그런데, 놀이만 놓고 봤을 땐 아이가 또래들 사이에서 안전하게 놀 수만 있다면 병리적인 상황은 없다. 한 가지만 당부하고 싶다. 엄마와 아이가 단둘이만 있는 계속적인 고립 상황에만 빠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요즘 엄마들 중엔 홈쇼핑으로 모든 걸 해결하고 집 밖으로는 아예 나올 생각을 안 하는 극도의 대인기피증 엄마들이 있다. 이런 경우가 위험하다. 좀 다른 얘기지만 아이들의 놀이에 부모가 개입하고 놀이를 조종하려 드는 엄마들이 많은 것도 문제다.
선우현 = 교사도 힘들지만, 교사가 아이들을 못 놀게 통제하니 아이들도 괴롭다. 내게 상담받은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이 모래상자에 교실의 모습을 재현했는데, 모두가 다 복도 쪽 창가에 매달려 있는 모습이었다. 교사가 쉬는 시간에 못 나가게 막아 다들 창문 쪽에 가서 밖을 내다보고 있다는 거다.
<시리즈 끝>
<경향신문·참교육학부모회·서울 노원·도봉구청 공동기획>
<송현숙·김지원 기자
song@kyunghyang.com>